지식에서 과학으로

과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보통 무엇을 생각하십니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컴퓨터(정보과학), DNA(생명과학), 거울신경세포(뇌과학), 나노기술 등 선구적인 분야의 연구성과다.

그러나 이것은 과학 이론과 기술 적용을 결합한 분야의 성과입니다.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의 이론은 과학을 대표했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경계는 모호해졌고, 그 두 측면은 테크노사이언스라고 부를 수 있는 분야로 융합되었습니다.

한편으로 과학이라는 단어는 환경파괴, 핵무기, 원전사고, 약물부작용 등 과학기술로 인한 수많은 재난을 떠올리게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그에 따른 사회적 위험에 직면해야 합니다.

어느 쪽의 장점과 단점이 더 강조되든 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의 성과와 그로 인한 위험 없이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속가능성은 시대를 상징하는 슬로건이 되었습니다.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은 오늘날 사회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국가와 기업은 가장 큰 지원자입니다.

실제로 신문과 텔레비전에서는 과학과 기술이라는 단어를 매일 언급합니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단어 자체를 보면 과학과 관련된 과학으로만 읽을 수 있을 뿐 그 의미가 모호하다.

물리학은 사물과 물질의 논리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해석할 수 있고, 생물학은 생물에 대한 학문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과학이라는 단어는 누구나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설명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여기에는 다소 복잡한 상황이 있지만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Wissenschaft는 영어 과학 SCIENCE의 번역이고 과학은 라틴어 SCIENTIA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Schientia는 지식과 이해를 의미하는 매우 일반적인 단어인 라틴어 동사 scio scio의 명사형입니다.

예를 들어 Francis Bacon의 유명한 인용문 “Scientia est potentia”는 “지식은 힘이다”를 의미합니다.

이 Wissenschafttia가 English Science로 바뀐 후에도 처음에는 그 의미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즉 믿음이나 의견이 아닌 지식을 의미하는 단어였습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과학이 14세기 중반부터 지식이나 사실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고 설명합니다.

그 당시 과학은 오늘날의 과학이 아니라 일반적인 지식과 학습을 의미했습니다.

18세기 초부터 과학이라는 단어는 제한된 전문 지식, 즉 과학, 즉 관찰과 실험과 같은 경험적 방법으로 검증된 경험적 지식을 의미했습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과학 혁명이라고 불리는 중대한 지적 변혁이 일어났습니다.

현대 과학은 이러한 과학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탄생했습니다.

과학혁명 당시 토머스 홉스가 쓴 리바이어던의 목차에는 추리와 과학이라는 제목의 장이 있다.

Hobbes는 이 장에서 과학은 다양한 결과에 대한 지식이며 한 사실과 다른 사실의 관계라고 썼습니다.

그렇게 하면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기반으로 다른 일을 하고 싶거나 나중에 비슷한 일을 하고 싶을 때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있습니다.

설명. 즉, 과학은 사고의 결과, 사건의 인과 관계에 대한 지식입니다.

특히 그가 과학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식으로 언급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과학적 지식이 통합되고 유용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아시다시피 knowledge는 셀 수 없는 명사이지만 명사 science는 둘 다 사용됩니다.

과학이 과학적 지식을 의미할 때, 그것은 셀 수 없는 명사이며 복수가 없습니다.

반면 정밀과학이나 응용과학 등 학문 분야를 지칭할 때는 가산명사가 되어 복수로 표현할 수 있다.

즉, 과학의 복수형은 서로 다른 분야로 구성된 여러 개별 분야를 나타냅니다.

과학 지식이 점차 특수 분야로 나뉘고 각각 고유한 분야를 확립하면서 과학은 복수형으로 표기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사용법은 과학의 전문화와 차별화가 시작된 19세기 초 이후에 확립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지질학이라는 단어는 18세기 후반에 사용되었고 생물학이라는 단어는 19세기 초 트레비라누스와 라마르크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때부터 과학이 일반적인 자연 과학과 복수형으로 여러 개별 분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습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과학이라는 단어는 과학이 아니라 다른 분야를 의미하는 과학의 번역입니다.

유럽에서 과학은 원래 자연 철학의 발견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천동설과 지동설의 대립, 기독교와 현대과학의 대립에서 알 수 있듯이 종교적 미신에 반대하는 계몽주의적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일본에서 과학은 기술과 결합된 실용적인 지식, 즉 기술 응용을 중시하여 세계관이나 자연관이 아니라 특정 분야의 전문성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오늘날에도 일본 대학을 보면 공학부의 범위가 자연과학계열보다 훨씬 넓다는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 때문에 1970년대 일본의 무임승차 이론이 서양의 기초 연구 분야에서 제기된 적이 있다.

이러한 일본식 과학관을 상징하는 것은 과학을 번역하기 위해 선택한 과학이라는 단어이다.

19세기 중반 제2차 과학혁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과학 전문직의 출현이었다.

이제 과학자라는 단어가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과학자라는 말을 들으면 갈릴레오, 뉴턴, 아인슈타인 등을 떠올리지만 그중에서도 갈릴레오와 뉴턴은 과학자가 아니었다.

이유는 잠겨 있습니다.

그들이 살았던 17세기 유럽에는 과학자라는 단어가 없었다.

어쨌든 그들은 자연 철학자였습니다.

사실 갈릴레오는 자신의 연구 분야를 철학이라고 불렀고, 뉴턴의 본서는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인 프린키피아(Principia)라고도 불렸으며, 그만큼 철학의 일부였다.

따라서 다소 기괴한 표현이지만 17세기 과학혁명은 과학자가 아닌 철학자가 주도했다고 할 수 있다.